안녕하세요, UtzSiba입니다.
오늘은 변화하는 금융시장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암호화폐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해보겠습니다.
기존의 트럼프 1기때의 암호화폐 입장과 2기때의 암호화폐 입장이 무척이나 달라진 것을 알 수 있는데요.
과연 이러한 방향이 암호화폐 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리서치 해보았습니다.
2025년 암호화폐 정책의 대전환
미국의 금융 패권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한때 "달러에 대한 사기"라고 비판했던 암호화폐를 이제는 국가 전략 자산으로 끌어안은 트럼프 행정부의 놀라운 정책 전환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이 변화가 단순한 정책 선회가 아닌, 미국의 금융 헤게모니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는 것입니다.
1. 180도 달라진 트럼프의 암호화폐 정책
트럼프 행정부의 암호화폐 정책은 1기와 2기 사이에 극적인 패러다임 전환을 겪었습니다. 초기에는 암호화폐에 대해 회의적이었던 행정부가 이제는 적극적인 산업 육성으로 방향을 선회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경제적 필요성, 지정학적 경쟁, 그리고 국내 정치적 계산이 복잡하게 얽힌 결과입니다.
1기 행정부 시절에는 암묵적인 태도를 유지했으며, 트럼프 대통령 본인도 비트코인을 "달러에 대한 사기"라고 공개적으로 폄하했습니다. 당시 SEC의 제이 클레이턴 위원장은 Howey 테스트를 통해 ICO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실시했으며, 재무부는 3,000달러 이상의 거래에 대해 엄격한 "트래블 룰"을 적용했습니다.
2. 거시경제 안정화를 위한 새로운 접근
현재 미국 국가 부채가 GDP의 105%에 달하는 35조 달러를 기록하면서, 재무부는 비트코인을 비상관적 준비자산으로 인식하기 시작했습니다. 연방준비제도는 대차대조표의 복원력 강화를 위해 5% BTC 배분 시나리오를 스트레스 테스트에 포함시켰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통한 비용 절감 효과입니다. 행정부는 미국 다국적 기업들이 블록체인 채택을 통해 연간 국경 간 결제 비용을 180억 달러까지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서는 거시경제적 영향을 시사합니다.
3. 새로운 암호화폐 전략의 시작
현 행정부는 6가지 획기적인 개혁을 단행했습니다:
- SEC에서 CFTC로 규제 관할권을 이전하여 대부분의 토큰을 상품으로 재분류
- BITCOIN Act 2024를 통해 압수된 암호화폐 자산의 연방 보유를 의무화 (2025년 1분기 기준 214,000 BTC 보유)
- 은행의 디지털 자산 보유에 대한 규제 완화
- 연방준비제도의 CBDC 개발 금지
- 60만 달러 미만 비트코인 거래에 대한 양도소득세 폐지 제안
-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에 대한 분기별 감사 시스템 도입
4. 정책 설계팀의 혁신적 접근
새로운 암호화폐 정책의 중심에는 페이팔 마피아 출신의 AI·암호화폐 수석보좌관이 있습니다. 그의 리더십 하에 세 가지 핵심 이니셔티브가 추진되고 있습니다:
- 규제 샌드박스: 암호화폐 기업들을 위한 50개 주 통합 라이선스 프레임워크 구축
- 인재 육성: HBCU 및 커뮤니티 칼리지를 대상으로 한 12억 달러 규모의 블록체인 교육 기금 조성
- 보안 강화: DeFi를 위한 NIST 승인 포스트-퀀텀 암호화 프로토콜 개발
데이비드 색스의 "세 가지 교량" 전략은 전통 금융(TradFi), 탈중앙화 금융(DeFi), 정부를 연결하는 혁신적인 접근을 보여줍니다:
- FedNow와 이더리움 L2의 통합
- 소매 채권 구매를 위한 TreasuryDirect 지갑 도입
- 온체인 기업세 납부 시범 사업 운영
특히 리플의 CEO인 브래드 갈링하우스는 암호화폐 기업과 규제 기관 간의 역사적인 화해를 이끌어냈습니다:
- SEC와의 2억 5,000만 달러 합의금 도출 (초기 요구액 20억 달러에서 대폭 감소)
- XRP의 ISO 20022 표준 채택
- 연간 760억 달러 규모의 관세 징수에 XRP 활용
5. 중국 견제와 달러 패권 강화를 위한 이중 전략
이러한 정책 변화의 배경에는 중국의 디지털 위안화 출시와 EU의 MiCA 프레임워크가 있습니다. 특히 중국의 블록체인 서비스 네트워크(BSN)와 12억 사용자 규모의 디지털 위안 지갑은 미국의 긴급 대응을 촉발했습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달러 사용 확대 전략입니다:
- USDC 유통량: 280억 달러에서 530억 달러로 89% 증가
- 테더(USDT) 준비금: 870억 달러에서 960억 달러로 성장
- 국경 간 거래 점유율: 12%에서 19%로 상승
새로운 금융 패러다임의 서막?
트럼프 행정부의 암호화폐 전략은 브레턴우즈 체제 이후 가장 중요한 통화 체계의 재설계를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한 정책 변화가 아닌, 21세기 미국의 경제 리더십을 결정할 핵심 전략입니다. 글로벌 암호화폐 사용자가 12억 명을 넘어선 현재, 미국이 이 금융 혁명을 어떻게 주도하느냐가 향후 글로벌 금융 질서를 좌우할 것입니다. 특히 자유시장 이념과 전략적 통제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맞추느냐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유의사항] 본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제시된 정보는 작성일 기준으로 조사후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였으나, 그 정확성과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투자는 본인 책임하에 신중하게 결정하시기 바라며, 본 글에 기반한 투자 결정으로 인한 수익 또는 손실에 대해 작성자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투자는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법률·금융·의료 등 전문 분야 결정 시 반드시 해당 분야 공인 전문가와 상담해야 합니다.
2025.02.16 - [투자에서 살아남기/투자 거물들의 13F 이야기] - 2025년은 테바(TEVA)의 해? 스탠리 드러켄밀러의 선택
'정보를 물어와BA > 금융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가 내던진 '전략적 암호화폐 준비금'과 5가지의 코인 (2) | 2025.03.05 |
---|